UEFA 유로 202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A 유로 2024는 2024년에 독일에서 개최된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2018년 독일이 터키를 제치고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독일은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예선은 2023년 3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진행되었고, 총 24개 팀이 본선에 참가했다. 대회는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 결승전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스페인이 잉글랜드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기간 중 다양한 논란과 사건이 발생했으며, 공식 마스코트는 알베르트, 공식 슬로건은 "축구로 하나 되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EFA 유로 2024 - UEFA 유로 2024 예선
UEFA 유로 2024 예선은 유럽 축구 연맹 가입국들의 UEFA 유로 2024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대회로, 독일과 러시아를 제외한 53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며 2023년 3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진행되었다. - UEFA 유로 2024 - UEFA 유로 2024 결승전
UEFA 유로 2024 결승전은 2024년 7월 14일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에서 스페인과 잉글랜드의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스페인이 3-1로 승리했다. - 2024년 독일 - 제7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2024년 2월 15일부터 25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제7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루피타 뇽오 심사위원장,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명예 황금곰상 수상, 이란 영화 제작자 출국 금지, AfD 초청 논란,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관련 논란 등의 정치적 이슈와 마티 디옵 감독의 《다호메이》 황금곰상, 홍상수 감독의 《여행자의 필요》 은곰상 심사위원 대상 수상 등이 있었다. - 2024년 독일 - 2024년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2024년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은 28개 종목에 427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총 3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2024년 6월 - 2024년 프랑스 총선
2024년 프랑스 총선은 유럽 의회 선거에서 여당 연합의 패배로 인해 마크롱 대통령이 의회를 해산하고 실시한 조기 총선으로, 신인민전선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으나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여 정치 지형이 분열되었다. - 2024년 6월 - 2024년 유럽 의회 선거
2024년 유럽 의회 선거는 유럽 국민당 그룹과 사회민주진보동맹이 과반수를 차지했지만, 강경 우파 및 극우 정당의 약진과 중도 정당의 의석 감소가 나타났으며, 프랑스에서 의회 해산 및 총선이 실시되는 등 정치적 영향을 미쳤다.
UEFA 유로 2024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UEFA 유로 2024 |
다른 명칭 | 푸스발-유로파마이스터샤프트 2024 (독일어) |
![]() | |
슬로건 | United by Football. Vereint im Herzen Europas. (축구로 하나되어, 유럽의 심장에서 함께) |
개최국 | 독일 |
기간 | 2024년 6월 14일 – 7월 14일 |
참가 팀 수 | 24 |
경기장 수 | 10 |
도시 수 | 10 |
총 관중 수 | 2,781,349 |
총 득점 수 | 117 |
경기 수 | 51 |
대회 결과 | |
우승 | 스페인 (4회 우승) |
준우승 | 잉글랜드 |
3위 | 네덜란드 프랑스 |
최다 득점자 | 해리 케인 (잉글랜드) 조르주 미카우타제 (조지아) 자말 무시알라 (독일) 코디 학포 (네덜란드) 이반 슈란츠 (슬로바키아) 다니 올모 (스페인) (각 3골) |
최우수 선수 | 로드리 (스페인) |
영 플레이어 상 | 라민 야말 (스페인)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20 |
다음 대회 | 2028 |
관련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UEFA 유로 2024 공식 웹사이트 |
2. 개최국 선정
2017년 3월 8일, UEFA는 2017년 3월 3일 마감일까지 독일과 튀르키예 두 국가가 UEFA 유로 2024 대회 유치를 신청했다고 발표했다.[6][7] 독일은 2013년 10월에 입후보를 표명했고,[198] 튀르키예는 2014년 4월에 입후보를 표명했다.[199]
개최국은 UEFA 집행위원회의 기밀 투표로 선정되었으며,[8][9] 과반수 득표를 얻으면 개최국으로 선정될 수 있었다. 득표수가 동률일 경우에는 UEFA 회장 알렉산데르 체페린이 최종 결정을 내렸다.[10][11] UEFA 집행위원회 위원 20명 중 라인하르트 그린델(독일)과 세르베트 야르드임지(튀르키예)는 이해 관계로 인해 투표에 참여할 수 없었고, 라르스-크리스터 올손(스웨덴)도 질병으로 인해 불참하여 총 17명의 위원이 투표에 참여했다.[13][12]
2018년 9월 27일 스위스 니옹에서 열린 UEFA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투표 결과, 독일이 12표, 튀르키예가 4표를 얻어 독일이 UEFA 유로 2024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2][13][14][15][200]
국가 | 득표수 |
---|---|
12 | |
4 | |
기권 | 1 |
합계 | 17 |
3. 예선
독일은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출전했고, 나머지 23개국은 예선을 통해 진출 자격을 결정했다. 2023년 3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조별 예선이 진행되었고 2024년 3월에는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와 연계된 플레이오프가 진행되었다.[64]
UEFA 유로 2024 예선 조 추첨은 2022년 10월 9일에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위치한 페스트할레에서 열렸다.[62][63]
개최국인 독일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나머지 23장의 본선 진출 티켓은 예선을 통해 결정되었다. 20장의 티켓은 10개 예선 조의 조 1위와 2위 팀의 직접 진출로 결정되었고, 나머지 3장의 티켓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되었다.[60] 플레이오프 출전 자격은 2022–23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팀들 중 예선을 통해 이미 진출하지 못한 팀들에게 주어졌다.[61]
3. 1. 본선 진출국
UEFA 유로 2024 본선에는 총 24개 팀이 참가한다. 개최국 독일을 제외한 23개 팀은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2018년 9월 27일 개최국으로 선정된 독일은 14회 연속이자 통산 14번째 본선에 진출했다. 독일은 1972년 대회부터 2020년 대회까지 서독 시절을 포함하여 매 대회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은 2023년 3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진행되었다. 2023년 10월 13일, 벨기에, 프랑스, 포르투갈이 가장 먼저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포르투갈은 예선에서 전승을 기록한 유일한 팀이며, 프랑스, 벨기에, 헝가리, 루마니아는 무패로 예선을 통과했다.[65]
스페인과 스코틀랜드는 2023년 10월 15일에, 튀르키예는 10월 15일에, 오스트리아는 10월 16일에, 잉글랜드는 10월 17일에 각각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헝가리와 슬로바키아는 11월 16일에, 알바니아와 덴마크는 11월 17일에, 네덜란드, 루마니아, 스위스는 11월 18일에, 세르비아는 11월 19일에 본선에 합류했다. 체코, 이탈리아, 슬로베니아는 11월 20일에, 크로아티아는 11월 21일에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예선 플레이오프를 통해 조지아, 우크라이나, 폴란드가 2024년 3월 26일 마지막으로 본선에 합류했다. 특히 조지아는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 이후 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68]
이번 대회에는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와 준우승팀 잉글랜드를 비롯하여, 2022년 월드컵 준우승팀 프랑스와 3위팀 크로아티아 등 19개 팀이 이전 대회에 이어 연속으로 본선에 진출했다.[65] 알바니아와 루마니아는 유로 2020 불참 이후 다시 본선에 진출했고, 세르비아와 슬로베니아는 유로 2000 이후 처음으로 본선 무대를 밟게 되었다.[66][67]
반면, 스웨덴은 유로 1996 이후 처음으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예선에서 배제되었다.[69] 웨일스는 플레이오프에서 폴란드에 승부차기로 패하며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팀 | 조건 | 출전 횟수 | 출전 대회 | 최고 성적 |
---|---|---|---|---|
개최국 | 14회 연속 14번째 | 1972、1976、1980、1984、1988、1992、1996、2000、2004、2008、2012、2016、2020 | 우승(1972、1980、1996) | |
예선 A조 1위 | 8회 연속 12번째 | 1964、1980、1984、1988、1996、2000、2004、2008、2012、2016、2020 | 우승(1964、2008、2012) | |
예선 A조 2위 | 2회 연속 4번째 | 1992、1996、2020 | 조별 리그 탈락(1992、1996、2020) | |
예선 B조 1위 | 9회 연속 11번째 | 1960、1984、1992、1996、2000、2004、2008、2012、2016、2020 | 우승(1984、2000) | |
예선 B조 2위 | 2회 연속 11번째 | 1976、1980、1988、1992、1996、2000、2004、2008、2012、2020 | 우승(1988) | |
예선 C조 1위 | 4회 연속 11번째 | 1968、1980、1988、1992、1996、2000、2004、2012、2016、2020 | 준우승(2020) | |
예선 C조 2위 | 8회 연속 11번째 | 1968、1980、1988、1996、2000、2004、2008、2012、2016、2020 | 우승(1968、2020) | |
예선 D조 1위 | 3회 연속 6번째 | 1996、2004、2008、2016、2020 | 4강(2008) | |
예선 D조 2위 | 6회 연속 7번째 | 1996、2004、2008、2012、2016、2020 | 8강(1996、2008) | |
예선 E조 1위 | 2회 만의 2번째 | 2016 | 조별 리그 탈락(2016) | |
예선 E조 2위 | 8회 연속 11번째 | 1960、1976、1980、1996、2000、2004、2008、2012、2016、2020 | 우승(1976) | |
예선 F조 1위 | 3회 연속 7번째 | 1972、1980、1984、2000、2016、2020 | 준우승(1980) | |
예선 F조 2위 | 3회 연속 4번째 | 2008、2016、2020 | 16강(2020) | |
예선 G조 1위 | 3회 연속 5번째 | 1964、1972、2016、2020 | 3위(1964) | |
예선 G조 2위 | 6회 만의 6번째 | 1960、1968、1976、1984、2000 | 준우승(1960、1968) | |
예선 H조 1위 | 2회 연속 10번째 | 1964、1984、1988、1992、1996、2000、2004、2012、2020 | 우승(1992) | |
예선 H조 2위 | 6회 만의 2번째 | 2000 | 조별 리그 탈락(2000) | |
예선 I조 1위 | 2회 만의 6번째 | 1984、1996、2000、2008、2016 | 8강(2000) | |
예선 I조 2위 | 3회 연속 6번째 | 1996、2004、2008、2016、2020 | 8강(2020) | |
예선 J조 1위 | 8회 연속 9번째 | 1984、1996、2000、2004、2008、2012、2016、2020 | 우승(2016) | |
예선 J조 2위 | 3회 연속 6번째 | 1960、1976、1980、2016、2020 | 우승(1976) | |
플레이오프 A조 승자 | 5회 연속 5번째 | 2008、2012、2016、2020 | 8강(2016) | |
플레이오프 B조 승자 | 4회 연속 4번째 | 2012、2016、2020 | 8강(2020) | |
플레이오프 C조 승자 | 첫 출전 |
3. 2. 러시아의 실격
유럽 축구 연맹(UEFA)은 2022년 9월 20일에 크로아티아 흐바르에서 열린 집행위원회 회의를 열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UEFA의 결정에 따라 러시아의 UEFA 유로 2024 참가 금지를 결정했다.[69][70][71][72] 이는 러시아가 UEFA 유로 2000 이후 처음으로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에 출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4.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독일은 UEFA의 최소 수용 인원인 30,000석을 충족하는 다양한 경기장을 보유하고 있어,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 사용되었던 경기장들을 중심으로 개최 도시를 선정했다.[17][18][19]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 사용되었던 베를린의 올림피아슈타디온은 UEFA 유로 2024에서 가장 큰 경기장으로 결승전을 개최했다.[23]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사용된 경기장 중 베를린, 도르트문트, 뮌헨, 쾰른, 슈투트가르트, 함부르크, 라이프치히,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겔젠키르헨이 다시 선정되었다.[18][19] 1974년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1988에서 사용되었던 뒤셀도르프가 추가되었고,[19] 2006년 월드컵 개최 도시였던 하노버, 뉘른베르크, 카이저슬라우테른은 제외되었다.[20] UEFA 유로 2020에서 일부 경기를 개최했던 뮌헨은 연속으로 개최 도시에 포함되었다.[20]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라인-루르 지역은 4개 도시(도르트문트, 뒤셀도르프, 겔젠키르헨, 쾰른)가 선정되어 가장 많은 개최 도시를 보유한 지역이 되었다.[22]
베를린 | 뮌헨 | 도르트문트 | 슈투트가르트 |
---|---|---|---|
올림피아슈타디온 | 알리안츠 아레나 | 베스트팔렌슈타디온 | MHP아레나 |
수용 인원: 71,000[23] | 수용 인원: 66,000[24] | 수용 인원: 62,000[25] | 수용 인원: 51,000[26] |
![]() | ![]() | ![]() | ![]() |
겔젠키르헨 | {{Location map+|Germany|float=center|width=485|caption=UEFA 유로 2024 개최 도시 위치.|places= | ||
아레나 아우프샬케 | |||
수용 인원: 50,000[27] | |||
![]() | |||
함부르크 | |||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 |||
수용 인원: 49,000[28] | |||
![]() | |||
뒤셀도르프 | 프랑크푸르트 | 쾰른 | 라이프치히 |
메르쿠어 슈필-아레나 | 발트슈타디온 | 라인에너지슈타디온 | 레드불 아레나 |
수용 인원: 47,000[29] | 수용 인원: 47,000[30] | 수용 인원: 43,000[31] | 수용 인원: 40,000[32] |
![]() | ![]() | ![]() | ![]() |
5. 조별 리그
UEFA 유로 2024 본선 조 추첨은 2023년 12월 2일에 독일 함부르크에 위치한 엘프필하모니에서 열렸다.[73] 대회는 UEFA 유로 2016, UEFA 유로 2020과 같은 방식대로 진행될 예정이다. 팀은 UEFA 유로 2024 예선 순위에 따라 시드를 배정받았다. 개최국 독일은 자동으로 포트 1에 배정되며 A1 위치에 배치되었다.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에 진출한 3개 팀은 추첨 당시에 어느 팀인지 알려지지 않았으며, 본선 조 추첨에서 자동으로 포트 4에 배정되었다.[86][74][75][76] 추첨이 진행되는 동안 장난으로 인해 다양한 성적 소음이 발생하여 중단되었다.[77][78]
{|
|- valign=top
|
팀 | 순위 |
---|---|
(개최국, A1에 배정됨) | 해당 대상이 아님 |
1위 | |
2위 | |
3위 | |
4위 | |
5위 |
|
팀 | 순위 |
---|---|
6위 | |
7위 | |
8위 | |
9위 | |
10위 | |
11위 |
|-
|
팀 | 순위 |
---|---|
12위 | |
13위 | |
14위 | |
15위 | |
16위 | |
17위 |
|
팀 | 순위 |
---|---|
18위 | |
19위 | |
20위 | |
(예선 플레이오프 패스 A 승자)1 | 해당 대상이 아님 |
(예선 플레이오프 패스 B 승자)1 | 해당 대상이 아님 |
(예선 플레이오프 패스 C 승자)1 | 해당 대상이 아님 |
|}1 추첨 당시에는 플레이오프 승자가 결정되지 않았다.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d71abe5_55672771.svg|thumb|upright=1.8|UEFA 유로 2024 참가팀 결과
]]
UEFA는 2022년 5월 10일, 개막전, 준결승전, 결승전의 킥오프 시간만을 포함한 토너먼트 일정을 발표했다.[82][83] 다른 모든 경기의 킥오프 시간은 조 추첨 이후인 2023년 12월 2일에 발표되었다.[84][85]
조 1위, 2위 팀과 상위 4개 조 3위팀이 16강에 진출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 기준이며, CEST (UTC+2)을 따른다.
조별 리그 경기 종료 시 두 팀 이상이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는 경우, 다음의 동점자 순위 결정 기준을 적용한다:[86]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골득실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다득점
# 기준 1~3을 적용한 후에도 팀들의 순위가 동률인 경우, 최종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여전히 동률인 팀 간의 경기에 대해 기준 1~3을 다시 적용한다. 이 절차로도 결정이 나지 않으면 기준 5~9를 적용한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다득점
# 조별 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서로 대결하는 두 팀이 승점, 골득실차, 다득점에서 동률을 이루고 경기가 무승부로 끝난 경우, 승부차기로 순위를 결정한다. (이 기준은 두 팀 이상이 같은 승점을 가진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낮은 징계 점수: (경고 1점에 1점, 퇴장 1점에 3점 (직접 퇴장 또는 경고 2개), 경고 후 퇴장 1점에 4점)
# 유럽 예선 전체 순위에서의 더 높은 순위, 또는 개최국 독일이 동점자 처리에 관련된 경우 추첨.
5. 1. A조
UEFA 유로 2024 A조에는 독일, 스코틀랜드, 헝가리, 스위스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는 2024년 6월 14일부터 6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조 | 팀 |
---|---|
A1 | |
A2 | |
A3 | |
A4 |
개최국 독일은 6월 14일 뮌헨의 푸스발 아레나 뮌헨에서 열린 개막전에서 스코틀랜드를 5-1로 대파했다. 플로리안 비르츠, 자말 무시알라, 카이 하베르츠, 니클라스 퓔크루크, 엠레 잔이 득점하였고, 스코틀랜드는 안토니오 뤼디거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했다.
6월 15일 쾰른의 쾰른 슈타디온에서 열린 헝가리와 스위스의 경기에서는 스위스가 3-1로 승리했다. 스위스는 콰둬 두아, 미셸 애비셔, 브릴 엠볼로가 득점했고, 헝가리는 버르거 버르너바시가 한 골을 기록했다.
6월 19일, 독일은 슈투트가르트의 슈투트가르트 아레나에서 헝가리를 2-0으로 꺾었다. 자말 무시알라와 일카이 귄도안이 골을 넣었다. 같은 날 쾰른에서 열린 스코틀랜드와 스위스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스코틀랜드는 스콧 맥토미니가, 스위스는 제르단 샤키리가 득점했다.
6월 23일, 스위스와 독일은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프랑크푸르트 아레나에서 1-1로 비겼다. 스위스는 단 은도예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독일은 니클라스 퓔크루크가 후반 추가시간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스코틀랜드와 헝가리의 경기에서는 헝가리가 초보트 케빈의 후반 추가시간 득점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최종 결과, 독일과 스위스가 16강에 진출했다. 헝가리는 조 3위를 기록, 다른 조 3위 팀들과의 순위 경쟁을 통해 16강 진출 여부가 결정된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3 | 2 | 1 | 0 | 8 | 2 | +6 | 7 | |
2 | 3 | 1 | 2 | 0 | 5 | 3 | +2 | 5 | |
3 | 3 | 1 | 0 | 2 | 2 | 5 | -3 | 3 | |
4 | 3 | 0 | 1 | 2 | 2 | 7 | -5 | 1 |
5. 2. B조
UEFA 유로 2024 B조는 죽음의 조로 불리며, 스페인,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알바니아가 속해 있다. 조별 리그 순위는 조별 리그 순위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3 | 3 | 0 | 0 | 5 | 0 | +5 | 9 | 16강전 진출 | |
2 | 3 | 1 | 1 | 1 | 3 | 3 | 0 | 4 | 16강전 진출 | |
3 | 3 | 0 | 2 | 1 | 3 | 6 | -3 | 2 | 조 3위 국가들간 순위에따라 16강전 진출 | |
4 | 3 | 0 | 1 | 2 | 3 | 5 | -2 | 1 | 탈락 |
6월 15일, 스페인은 베를린의 올림피아슈타디온에서 열린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 알바로 모라타, 파비안 루이스, 다니 카르바할의 골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이탈리아는 도르트문트의 BVB 슈타디온에서 알바니아를 상대로 알레산드로 바스토니와 니콜로 바렐라의 골로 2-1 승리를 기록했다. 알바니아는 네딤 바이라미가 경기 시작 1분 만에 득점하며 앞서갔다.
6월 19일,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린 크로아티아와 알바니아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알바니아는 카짐 라치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크로아티아는 안드레이 크라마리치의 골과 클라우스 자술라의 자책골로 역전했다. 하지만 알바니아는 클라우스 자술라가 후반 추가시간에 동점골을 넣어 경기를 무승부로 만들었다. 6월 20일, 겔젠키르헨의 아레나 아우프샬케에서 열린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경기는 리카르도 칼라피오리의 자책골로 스페인이 1-0 승리를 거두었다.
6월 24일, 알바니아는 뒤셀도르프의 뒤셀도르프 아레나에서 스페인에게 페란 토레스에게 골을 허용하며 0-1로 패배했다. 같은 날 라이프치히의 라이프치히 슈타디온에서 열린 크로아티아와 이탈리아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크로아티아는 루카 모드리치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이탈리아는 마티아 자카니가 후반 추가시간에 동점골을 기록하며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5. 3. C조
UEFA 유로 2024 C조는 UEFA 유로 2024의 C조 리그이다. C조에는 슬로베니아, 덴마크, 세르비아, 잉글랜드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순위는 타이브레이커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2024년 6월 16일, 슬로베니아와 덴마크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슬로베니아의 에릭 얀자가 77분에,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에릭센이 17분에 득점하였다. 같은 날 세르비아와 잉글랜드의 경기는 잉글랜드가 주드 벨링엄의 13분 득점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하였다.
6월 20일, 슬로베니아와 세르비아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슬로베니아의 잔 카르니치닉이 69분에 득점하였고, 세르비아의 루카 요비치는 90+5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같은 날 덴마크와 잉글랜드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덴마크의 모르텐 율만은 34분에, 잉글랜드의 해리 케인은 18분에 득점하였다.
6월 25일, 잉글랜드와 슬로베니아, 덴마크와 세르비아의 경기는 모두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결과 |
---|---|---|---|---|---|---|---|---|---|---|
1 | 3 | 1 | 2 | 0 | 2 | 1 | +1 | 5 | 16강전 진출 | |
2 | 3 | 0 | 3 | 0 | 2 | 2 | 0 | 3 | 16강전 진출 | |
3 | 3 | 0 | 3 | 0 | 2 | 2 | 0 | 3 | 16강전 진출 | |
4 | 3 | 0 | 2 | 1 | 1 | 2 | -1 | 2 | 탈락 |
덴마크와 슬로베니아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까지 동률을 이루었으나, 페어플레이 점수에서 덴마크가 –4점, 슬로베니아가 –5점으로 덴마크가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5. 4. D조
D조에는 폴란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프랑스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순위는 조별 리그 순위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3 | 2 | 0 | 1 | 6 | 4 | +2 | 6 | 16강전 진출 | |
2 | 3 | 1 | 2 | 0 | 2 | 1 | +1 | 5 | 16강전 진출 | |
3 | 3 | 1 | 1 | 1 | 4 | 4 | 0 | 4 | 조 3위 국가들간 순위에 따라 16강전 진출 | |
4 | 3 | 0 | 1 | 2 | 3 | 6 | -3 | 1 | 탈락 |
2024년 6월 16일,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린 폴란드와 네덜란드의 경기에서는 네덜란드가 2-1로 승리했다. 폴란드의 아담 북사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네덜란드의 코디 학포와 바우트 베호르스트가 득점하여 역전승을 거두었다.
6월 17일, 뒤셀도르프의 뒤셀도르프 아레나에서 열린 오스트리아와 프랑스의 경기에서는 프랑스가 1-0으로 승리했다. 프랑스의 막시밀리안 뵈버가 자책골을 기록했다.
6월 21일, 베를린의 올림피아슈타디온에서 열린 폴란드와 오스트리아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리아가 3-1로 승리했다. 오스트리아의 게르놋 트라우너, 크리스토프 바움가르트너,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가 득점했고, 폴란드의 크시슈토프 피옹테크가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라이프치히의 라이프치히 슈타디온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프랑스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6월 25일, 베를린의 올림피아슈타디온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오스트리아의 경기에서는 오스트리아가 3-2로 승리했다. 오스트리아의 로마노 슈미트, 마르첼 자비처가 득점하고, 네덜란드의 돈옐 말런이 자책골을 기록했다. 네덜란드의 코디 학포, 멤피스 데파이가 득점했다. 같은 날 도르트문트의 BVB 슈타디온에서 열린 프랑스와 폴란드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프랑스의 킬리안 음바페와 폴란드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각각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
5. 5. E조
E조는 벨기에,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로 구성되었다. 조별 리그 순위는 타이브레이커에 따라 결정된다.2024년 6월 17일 뮌헨의 푸스발 아레나 뮌헨에서 열린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의 경기에서는 루마니아가 3-0으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프랑크푸르트 아레나에서 열린 벨기에와 슬로바키아의 경기에서는 슬로바키아가 1-0으로 승리하였다.
6월 21일 뒤셀도르프의 뒤셀도르프 아레나에서 열린 슬로바키아와 우크라이나의 경기에서는 우크라이나가 2-1로 승리하였다. 6월 22일 쾰른의 쾰른 슈타디온에서 열린 벨기에와 루마니아의 경기에서는 벨기에가 2-0으로 승리하였다.
6월 26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프랑크푸르트 아레나에서 열린 슬로바키아와 루마니아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같은 날 슈투트가르트의 슈투트가르트 아레나에서 열린 우크라이나와 벨기에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3 | 1 | 1 | 1 | 4 | 3 | +1 | 4 | 16강전 진출 | |
2 | 3 | 1 | 1 | 1 | 2 | 1 | +1 | 4 | 16강전 진출 | |
3 | 3 | 1 | 1 | 1 | 3 | 3 | 0 | 4 | 조 3위 국가들간 순위에따라 16강전 진출 | |
4 | 3 | 1 | 1 | 1 | 2 | 4 | -2 | 4 |
5. 6. F조
F조는 UEFA 유로 2024의 6개 조 중 하나로, 2024년 6월 18일부터 6월 26일까지 경기가 진행되었다. F조에는 튀르키예, 조지아, 포르투갈, 체코가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순위는 타이브레이커 규칙에 따라 결정되었다.경기 결과, 포르투갈과 튀르키예가 각각 1,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조지아는 조 3위를 기록, 조 3위 국가들간 순위에 따라 16강에 진출했다.
6월 18일, 도르트문트의 BVB 슈타디온에서 열린 튀르키예와 조지아의 경기에서는 튀르키예가 3-1로 승리했다. 같은 날 라이프치히의 라이프치히 슈타디온에서 열린 포르투갈과 체코의 경기에서는 포르투갈이 2-1로 승리했다.
6월 22일,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린 조지아와 체코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도르트문트의 BVB 슈타디온에서 열린 튀르키예와 포르투갈의 경기에서는 포르투갈이 3-0으로 승리했다.
6월 26일, 겔젠키르헨의 아레나 아우프샬케에서 열린 조지아와 포르투갈의 경기에서는 조지아가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린 체코와 튀르키예의 경기에서는 튀르키예가 2-1로 승리했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3 | 2 | 0 | 1 | 5 | 3 | +2 | 6 | |
2 | 3 | 2 | 0 | 1 | 5 | 5 | 0 | 6 | |
3 | 3 | 1 | 1 | 1 | 4 | 4 | 0 | 4 | |
4 | 3 | 0 | 1 | 2 | 3 | 5 | -2 | 1 |
5. 7.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UEFA 유로 2024 각 조 3위 팀은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204]# 전 경기에서 획득한 승점
# 전 경기에서의 득실차
# 전 경기에서의 골 수
# 전 경기에서 승리 수
# 페어 플레이 포인트 (경고: 1점, 경고 2장으로 인한 퇴장: 3점, 즉시 퇴장: 3점, 경고 후 즉시 퇴장: 4점)
# 예선 종합 순위. 단, 비교 대상에 개최국 독일이 포함된 경우에는 추첨을 실시한다.
위 기준에 따라 16강 진출 상위 4개 팀이 결정된다.
그룹 | rowspan=16 | | B조 1위 vs | C조 1위 vs | E조 1위 vs | F조 1위 vs | |||||
---|---|---|---|---|---|---|---|---|---|---|
A | B | C | D | 3A | 3D | 3B | 3C | |||
A | B | C | E | 3A | 3E | 3B | 3C | |||
A | B | C | F | 3A | 3F | 3B | 3C | |||
A | B | D | E | 3D | 3E | 3A | 3B | |||
A | B | D | F | 3D | 3F | 3A | 3B | |||
A | B | E | F | 3E | 3F | 3B | 3A | |||
A | C | D | E | 3E | 3D | 3C | 3A | |||
A | C | D | F | 3F | 3D | 3C | 3A | |||
A | C | E | F | 3E | 3F | 3C | 3A | |||
A | D | E | F | 3E | 3F | 3D | 3A | |||
B | C | D | E | 3E | 3D | 3B | 3C | |||
B | C | D | F | 3F | 3D | 3C | 3B | |||
B | C | E | F | 3F | 3E | 3C | 3B | |||
B | D | E | F | 3F | 3E | 3D | 3B | |||
C | D | E | F | 3F | 3E | 3D | 3C |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6강에 진출하는 3위 팀들의 출신 조에 따라 B, C, E, F조 1위 팀들의 상대가 결정된다.[204] 예를 들어 C, D, E, F조 3위 팀이 16강에 진출하면, B조 1위는 F조 3위, C조 1위는 E조 3위, E조 1위는 D조 3위, F조 1위는 C조 3위와 경기를 치른다.
6. 결선 토너먼트
녹아웃 단계에서 정규 플레이 시간이 종료된 시점에 경기가 동점일 경우, 연장전이 진행된다(각각 15분씩 2피리어드). 연장전 후에도 여전히 동점이라면, 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다.
UEFA 유로 1984 이후로 3위 결정전은 실시되지 않는다.
모든 경기 시간의 표기는 현지 시간(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2)을 따른다.
16강전 | ||||
---|---|---|---|---|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2024년 6월 29일 | 스위스 | 2 - 0 | 이탈리아 |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 |
2024년 6월 29일 | 독일 | 2 - 0 | 덴마크 | 도르트문트,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 |
2024년 6월 30일 | 잉글랜드 | 2 - 1[86] | 슬로바키아 | 겔젠키르헨, 펠틴스 아레나 |
2024년 6월 30일 | 스페인 | 4 - 1 | 조지아 | 쾰른, 라인에네르기슈타디온 |
2024년 7월 1일 | 프랑스 | 1 - 0 | 벨기에 | 뒤셀도르프, 메르쿠어 슈필 아레나 |
2024년 7월 1일 | 포르투갈 | 0(3) - 0(0) (승부차기) | 슬로베니아 | 프랑크푸르트, 도이체 방크 파르크 |
2024년 7월 2일 | 루마니아 | 0 - 3 | 네덜란드 | 뮌헨, 알리안츠 아레나 |
2024년 7월 2일 | 오스트리아 | 1 - 2 | 튀르키예 | 라이프치히, 레드불 아레나 |
8강전 | ||||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2024년 7월 5일 | 스페인 | 3 - 1 | 독일 | 슈투트가르트, MHP아레나 |
2024년 7월 5일 | 포르투갈 | 0(3) - 0(5) (승부차기) | 프랑스 | 함부르크,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
2024년 7월 6일 | 네덜란드 | 2 - 1 | 튀르키예 |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 |
2024년 7월 6일 | 잉글랜드 | 1(5) - 1(3) (승부차기) | 스위스 | 뒤셀도르프, 메르쿠어 슈필 아레나 |
준결승전 | ||||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2024년 7월 9일 | 스페인 | 2 - 1 | 프랑스 | 뮌헨, 알리안츠 아레나 |
2024년 7월 10일 | 네덜란드 | 1 - 2 | 잉글랜드 | 도르트문트,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 |
결승전 | ||||
경기일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2024년 7월 14일 | 스페인 | 3-1 | 잉글랜드 |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 |
6. 1. 16강전
16강전은 2024년 6월 29일부터 7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각 경기는 해당 날짜에 맞춰 진행되었으며, 경기 결과에 따라 8강 진출팀이 결정되었다.- 6월 29일, 베를린의 올림피아슈타디온에서 열린 스위스와 이탈리아의 경기에서는 스위스가 레모 프로일러와 루벤 바르가스의 득점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도르트문트의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에서 열린 독일과 덴마크의 경기는 독일이 카이 하베르츠와 자말 무시알라의 득점으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는 35분에 번개와 폭우로 인해 중단되었다가 25분 후 재개되었다.[239][240]
- 6월 30일, 겔젠키르헨의 펠틴스 아레나에서 열린 잉글랜드와 슬로바키아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잉글랜드가 주드 벨링엄과 해리 케인의 연속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슬로바키아는 이반 슈란츠가 득점했다. 같은 날 쾰른의 라인에네르기슈타디온에서 열린 스페인과 조지아의 경기는 스페인이 4-1로 크게 이겼다. 스페인의 로드리 에르난데스, 파비안 루이스, 니코 윌리암스, 다니 올모가 득점했고, 조지아는 로뱅 르 노르망의 자책골을 기록했다.
- 7월 1일, 뒤셀도르프의 메르쿠어 슈필 아레나에서 열린 프랑스와 벨기에의 경기는 얀 페르통언의 자책골로 프랑스가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프랑크푸르트의 도이체 방크 파르크에서 열린 포르투갈과 슬로베니아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포르투갈이 3-0으로 이겼다. 포르투갈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브루누 페르난드스, 베르나르두 실바가 승부차기를 성공시켰고, 슬로베니아는 요시프 일리치치, 유레 발코베츠, 베냐민 베르비치가 모두 실축했다.
- 7월 2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열린 루마니아와 네덜란드의 경기는 네덜란드가 코디 학포와 도니얼 말런의 득점으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라이프치히의 레드불 아레나에서 열린 오스트리아와 터키의 경기는 터키가 메리흐 데미랄의 멀티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오스트리아는 미하엘 그레고리치가 득점했다.
6. 2. 8강전
2024년 7월 5일, MHP아레나에서 열린 스페인과 독일의 경기에서 스페인이 연장전 끝에 2-1로 승리했다. 다니 올모가 51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89분에 플로리안 비르츠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연장전에서 미켈 메리노가 119분에 결승골을 넣어 스페인이 승리했다. 같은 날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린 포르투갈과 프랑스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프랑스가 5-3으로 승리했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를 포함한 포르투갈 선수들이 승부차기에 성공했지만, 주앙 펠릭스가 실축하며 프랑스가 승리하게 되었다.7월 6일, 메르쿠어 슈필 아레나에서 열린 잉글랜드와 스위스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잉글랜드가 5-3으로 승리했다. 브릴 엠볼로가 75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80분에 부카요 사카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잉글랜드는 콜 파머를 포함한 모든 선수들이 승부차기에 성공했지만, 스위스는 마누엘 아칸지가 실축하며 패배했다. 같은 날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에서 열린 네덜란드와 튀르키예의 경기에서는 네덜란드가 2-1로 승리했다. 스테판 더 프레이가 70분에 선제골을, 메르트 뮐뒤르가 76분에 자책골을 기록하며 네덜란드가 앞서갔다. 튀르키예는 사메트 아카이딘이 35분에 골을 넣었지만, 추가 득점에 실패하며 패배했다.
6. 3. 준결승전
2024년 7월 9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열린 준결승전 경기에서 스페인이 프랑스를 2-1로 이겼다. 랑달 콜로 무아니가 전반 9분에 프랑스의 선제골을 넣었으나, 라민 야말과 다니 올모가 각각 전반 21분과 25분에 연속 득점하여 스페인이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62,042명이었으며, 슬라프코 빈치치 (슬로베니아)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2024년 7월 10일, 도르트문트의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에서 열린 준결승전 경기에서는 잉글랜드가 네덜란드를 2-1로 이겼다. 사비 시몬스가 전반 7분에 네덜란드의 선제골을 넣었으나, 해리 케인이 전반 18분에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넣고, 올리 왓킨스가 후반 추가시간 90+1분에 결승골을 넣어 잉글랜드가 승리하였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60,926명이었으며, 펠릭스 츠바이어 (독일)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6. 4. 결승전
UEFA 유로 2024 결승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UEFA 유로 2024 결승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7. 우승
스페인
4번째 우승